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
    화재안전기준/화재안전성능기준 2024. 4. 18. 13:24
    728x90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101)

     

    1(목적) 이 기준은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이라 한다) 2조제1항제6호가목에 따라 소방청장에게 위임한 사항 중 소화설비인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의 성능기준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적용범위) 이 기준은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이하 ""이라 한다) 별표 4 1호가목 및 나목에 따른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의 설치 및 관리에 대해 적용한다.

    3(정의) 이 기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소화약제"란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에 사용되는 소화성능이 있는 고체액체 및 기체의 물질을 말한다.

    2. "소화기"란 소화약제를 압력에 따라 방사하는 기구로서 사람이 수동으로 조작하여 소화하는 다음 각 목의 것을 말한다.

    . "소형소화기"란 능력단위가 1단위 이상이고 대형소화기의 능력단위 미만인 소화기를 말한다.

    . "대형소화기"란 화재 시 사람이 운반할 수 있도록 운반대와 바퀴가 설치되어 있고 능력단위가 A10단위 이상, B20단위 이상인 소화기를 말한다.

    3. "자동확산소화기"란 화재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소화약제를 방출 확산시켜 국소적으로 소화하는 소화기를 말한다.

    4. "자동소화장치"란 소화약제를 자동으로 방사하는 고정된 소화장치로서 법 제37조 또는 제40조에 따라 형식승인이나 성능인증을 받은 유효설치 범위(설계방호체적, 최대설치높이, 방호면적 등을 말한다) 이내에 설치하여 소화하는 다음 각 목의 것을 말한다.

    . "주거용 주방자동소화장치"란 주거용 주방에 설치된 열발생 조리기구의 사용으로 인한 화재 발생 시 열원(전기 또는 가스)을 자동으로 차단하며 소화약제를 방출하는 소화장치를 말한다.

    . "상업용 주방자동소화장치"란 상업용 주방에 설치된 열발생 조리기구의 사용으로 인한 화재 발생 시 열원(전기 또는 가스)을 자동으로 차단하며 소화약제를 방출하는 소화장치를 말한다.

    . "캐비닛형 자동소화장치"란 열, 연기 또는 불꽃 등을 감지하여 소화약제를 방사하여 소화하는 캐비닛형태의 소화장치를 말한다.

    . "가스자동소화장치"란 열, 연기 또는 불꽃 등을 감지하여 가스계 소화약제를 방사하여 소화하는 소화장치를 말한다.

    . "분말자동소화장치"란 열, 연기 또는 불꽃 등을 감지하여 분말의 소화약제를 방사하여 소화하는 소화장치를 말한다.

    . "고체에어로졸자동소화장치"란 열, 연기 또는 불꽃 등을 감지하여 에어로졸의 소화약제를 방사하여 소화하는 소화장치를 말한다.

    5. "거실"이란 거주집무작업집회오락 그 밖에 이와 유사한 목적을 위하여 사용하는 방을 말한다.

    6. "능력단위"란 소화기 및 소화약제에 따른 간이소화용구에 있어서는 법 제37조제1항에 따라 형식승인 된 수치를 말하며, 소화약제 외의 것을 이용한 간이소화용구에 있어서는 다음 표에 따른 수치를 말한다.

    4(설치기준) 소화기구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1. 특정소방대상물의 설치장소에 따라 화재 종류별 적응성 있는 소화약제의 것으로 할 것

    2. 특정소방대상물별 소화기구의 능력단위는 다음 각 목에 따른 바닥면적마다 1단위 이상으로 한다.

    . 위락시설: 30제곱미터

    . 문화 및 집회시설(전시장 및 동식물원은 제외한다.)의료시설장례시설 중 장례식장 및 문화재: 50제곱미터

    . 공동주택근린생활시설문화 및 집회시설 중 전시장판매시설운수시설노유자시설업무시설숙박시설공장창고시설항공기 및 자동차 관련 시설방송통신시설 및 관광휴게시설: 100제곱미터

    . 가목 내지 다목에 해당하지 않는 것: 200제곱미터

    3. 2호에 따른 능력단위 외에 부속용도별로 사용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를 추가하여 설치할 것

    4. 소화기는 다음 각 목의 기준에 따라 설치할 것

    .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층마다 설치하되, 각 층이 둘 이상의 거실로 구획된 경우에는 각 층마다 설치하는 것 외에 바닥면적이 33제곱미터 이상으로 구획된 각 거실에도 배치할 것

    .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1개의 소화기까지의 보행거리가 소형소화기의 경우에는 20미터 이내, 대형소화기의 경우에는 30미터 이내가 되도록 배치할 것

    5. 능력단위가 2단위 이상이 되도록 소화기를 설치해야 할 특정소방대상물 또는 그 부분에 있어서는 간이소화용구의 능력단위가 전체 능력단위의 2분의 1을 초과하지 않게 할 것

    6. 소화기구(자동확산소화기를 제외한다)는 거주자 등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소에 바닥으로부터 높이 1.5미터 이하의 곳에 비치하고, 소화기구의 종류를 표시한 표지를 보기 쉬운 곳에 부착할 것. 다만, 소화기 및 투척용소화용구의 표지는 축광표지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적합한 축광식표지로 설치하고, 주차장의 경우 표지를 바닥으로부터 1.5미터 이상의 높이에 설치할 것

    7. 자동확산소화기는 다음 각 목의 기준에 따라 설치할 것

    . 방호대상물에 소화약제가 유효하게 방사될 수 있도록 설치할 것

    . 작동에 지장이 없도록 견고하게 고정할 것

    자동소화장치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 설치해야 한다.

    1. 주거용 주방자동소화장치는 다음 각 목의 기준에 따라 설치할 것

    . 소화약제 방출구는 환기구의 청소부분과 분리되어 있어야 하며, 형식승인 받은 유효설치 높이 및 방호면적에 따라 설치할 것

    . 감지부는 형식승인 받은 유효한 높이 및 위치에 설치할 것

    . 차단장치(전기 또는 가스)는 상시 확인 및 점검이 가능하도록 설치할 것

    . 가스용 주방자동소화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탐지부는 수신부와 분리하여 설치하되, 공기와 비교한 가연성가스의 무거운 정도를 고려하여 적합한 위치에 설치할 것

    . 수신부는 주위의 열기류 또는 습기 등과 주위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사용자가 상시 볼 수 있는 장소에 설치할 것

    2. 상업용 주방자동소화장치는 다음 각 목의 기준에 따라 설치할 것

    . 소화장치는 조리기구의 종류 별로 성능인증 받은 설계 매뉴얼에 적합하게 설치 할 것

    . 감지부는 성능인증 받는 유효높이 및 위치에 설치할 것

    . 차단장치(전기 또는 가스)는 상시 확인 및 점검이 가능하도록 설치할 것

    . 후드에 설치되는 분사헤드는 후드의 가장 긴 변의 길이까지 방출될 수 있도록 소화약제의 방출 방향 및 거리를 고려하여 설치할 것

    . 덕트에 방출되는 분사헤드는 성능인증 받는 길이 이내로 설치할 것

    3. 캐비닛형자동소화장치는 다음 각 목의 기준에 따라 설치할 것

    . 분사헤드(방출구)의 설치 높이는 방호구역의 바닥으로부터 형식승인을 받은 범위 내에서 유효하게 소화약제를 방출시킬 수 있는 높이에 설치할 것

    . 화재감지기는 방호구역 내의 천장 또는 옥내에 면하는 부분에 설치하되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203)7조에 적합하도록 설치할 것

    . 방호구역 내의 화재감지기의 감지에 따라 작동되도록 할 것

    . 화재감지기의 회로는 교차회로방식으로 설치할 것

    . 개구부 및 통기구(환기장치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는 소화약제가 방출되기 전에 해당 개구부 및 통기구를 자동으로 폐쇄할 수 있도록 할 것

    . 작동에 지장이 없도록 견고하게 고정할 것

    . 구획된 장소의 방호체적 이상을 방호할 수 있는 소화성능이 있을 것

    4. 가스, 분말,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는 다음 각 목의 기준에 따라 설치할 것

    . 소화약제 방출구는 형식승인 받은 유효설치범위 내에 설치할 것

    . 자동소화장치는 방호구역 내에 형식승인 된 1개의 제품을 설치할 것. 이 경우 연동방식으로서 하나의 형식으로 형식승인을 받은 경우에는 1개의 제품으로 본다.

    . 감지부는 형식승인된 유효설치범위 내에 설치해야 하며 설치장소의 평상시 최고주위온도에 따라 적합한 표시온도의 것으로 설치할 것

    . 다목에도 불구하고 화재감지기를 감지부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3호 나목부터 라목까지의 설치방법에 따를 것

    이산화탄소 또는 할로겐화합물을 방출하는 소화기구(자동확산소화기를 제외한다)는 지하층이나 무창층 또는 밀폐된 거실로서 그 바닥면적이 20제곱미터 미만의 장소에는 설치할 수 없다. 다만, 배기를 위한 유효한 개구부가 있는 장소인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5(소화기의 감소) 소형소화기를 설치해야 할 특정소방대상물 또는 그 부분에 옥내소화전설비스프링클러설비물분무등소화설비옥외소화전설비 또는 대형소화기를 설치한 경우에는 해당 설비의 유효범위의 부분에 대하여는 제4조제1항제2호 및 제3호에 따른 소형소화기의 일부를 감소할 수 있다.

    대형소화기를 설치해야 할 특정소방대상물 또는 그 부분에 옥내소화전설비스프링클러설비물분무등소화설비 또는 옥외소화전설비를 설치한 경우에는 해당 설비의 유효범위 안의 부분에 대하여는 대형소화기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6(설치유지기준의 특례)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은 특정소방대상물의 위치구조설비의 상황에 따라 유사한 소방시설로도 이 기준에 따라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에 설치해야 할 소화기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그 효력 범위 안에서 그 유사한 소방시설을 이 기준에 따른 소방시설로 보고 이 기준의 일부를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7(재검토 기한) 소방청장은 훈령예규 등의 발령 및 관리에 관한 규정에 따라 이 고시에 대하여 202311일을 기준으로 매 3년이 되는 시점(3년째의 1231일까지를 말한다)마다 그 타당성을 검토하여 개선 등의 조치를 해야 한다.

    '화재안전기준 > 화재안전성능기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화수조 및 저수조  (1) 2024.04.18
    비상전원수전설비  (0) 2024.03.06
    상수도소화용수설비  (0) 2024.03.04
    비상콘센트설비  (3) 2024.02.28
    비상조명등  (2) 2024.02.28
Designed by Tistory.